[스크랩] 살림! 가사분담 그 속에는 놀라운 힘이 있다.
가사분담, 그 속에는 놀라운 힘이 있다.
- 집안일은 가족과 가정에 대한 애정이며, 가족 모두 함께해야 할 일이다.
식사 준비, 설거지, 빨래, 청소, 정리 정돈,
쓰레기 분리 배출, 장보기...
하루도 거르지 않고 반복되는 데다, 해도 티 안 나고
안 하면 바로 드러나는 집안일.
단순하고 사소한 것 같아도 집안일로 갈등을 겪는 가정이 의외로 많다.
'집안일 좀 도와주면 어디가 덧나나?'
'하루 종일 일하고 온 사람한테 이런 것까지 시켜?'
'엄마가 알아서 하겠지'
집안일 자체가 문제라기보다 이렇듯
가족 구성원의 인식 차이 때문이다.
집안일이 때로는 귀찮고 허드렛일처럼 보이는 게 사실이다.
하지만 그 안에는 간과해서 안될 중요한 의미가 들어 있다.
흔히 집안일을 '살림'이라 하는데
그 어원은 '살리다'에서 비롯되었다.
가정을 살리고, 가족을 살리는 일이 살림이자 집안일인 것이다.
개수대에 씻지 않은 그릇이 가득해 악취를 풍기고,
냉장고는 텅 비어 있으며,
제자리에 있어야 할 물건들이
각종 쓰레기와 함께 이리저리 나뒹굴고,
밀린 빨래로 인해 더러운 옷을 다시 입어야 하는 상황에
처해진다면 생기와 활력을 느낄 수 있을까?
그런 집에서는 몸도 마음도 황폐해지고 말 것이다.
가부장적인 사회에서 집안일은 고스란히
어머니의 몫이었지만 이제는 시대도, 사고방식도 많이 바뀌었다.
바깥일은 아빠, 집안일은 엄마,
아이들은 공부만 하면 된다는 생각은 과감히 깨뜨리자.
맞벌이 가정만 아니라 전업주부가 있는
가정에도 가사 분담은 필요하다.
가사에 참여한다는 것은 노동을 분담하는 차원이 아니라
함께 사는 가족이라면 마땅히 해야 할 일이며,
가족 구성원임을 증명하는 일이기도 하다.
집안일을 나눠서 하게 되면 자연스럽게 소통할 기회도
생기고 서로가 서로에게 필요한 존재라는 사실도 깨닫게 된다.
완벽하지 않아도 된다.
누군가에게 보여주기 위한 모델하우스가 아닌 이상,
매일 생활하는 공간이 완벽할 수는 없다.
쓸고 닦고 먼지 하나 없이 사는 것이 목적은 아니다.
중요한 것은 그 안에 사는 가족의 행복이다.
가족의 건강과 행복을 지키는 범위 내에서 집안일을
적절히 조절하는 것도 지혜다.
행복한 가정에서는 집안일을 끝내면
잊지 않는 게 있다.
바로 고맙다는 표현이다.
"네가 도와줘서 엄마가 한결 수월해졌구나"
"당신 덕분에 우리 가족이 편하게 지낼 수 있어요"
"오늘도 수고 많으셨죠? 제가 안마 해드릴게요"
하고 말해보자.
별거 아닌 것 같지만 쌓인 피로를
단번에 날려줄 강력한 영양제가 될 것이다.